반응형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장곡사가 자리잡은 칠갑산은 해발 561m의 그리 높은 산은 아니다. 칠갑산이란 이름은 만물생성의 근원이 되는 땅과 불 그리고 물과 바람 등 일곱 가지 요소를 일컫는 칠원성군의 숫자 '칠'과 천체운행의 원리가 되는 육십갑자의 첫 번째인 '갑'자를 써서 지었다 한다. 칠갑산은 만물생성의 근원과 천체운행의 으뜸이 되는 산이란 뜻이며, 장곡사는 이름은 긴 계곡에 자리잡았다는 뜻으로 절의 지리적인 특징이 이름이 되었다. 장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서 통일신라시대 850년에 보조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경사진 대지의 아래쪽에 운학루, 하대웅전, 요사, 주지실이 있고, 그곳에서 돌계단으로 70여단을 올라가면 위쪽으로 상대웅전과 응진전이 있다. 
장곡사는 국보 58호 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 국보 300호 미륵불괘불 탱화, 보물 162호상대웅전, 181호 하대웅전, 보물 174호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 대좌, 보물 337호 금동약사여래좌상, 유형문화재 151호 설선당등 전국적으로도 보기드문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다. 귀중한 문화재를 많이 소장하고 있는 천년고찰로 전국에서 신도들과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는 곳이다

칠갑산 도립공원에 주차를하고나서 장곡사 올라가는 길목에는 칠갑산 장승공원이 있고, 이곳에 우뚝우뚝 서있는 각양각색의 장승들 수백점을 돌아보고나서 장곡사 입구쪽으로 들어섰다. 칠갑산 장곡사라는 현판이 보이는 일주문을 지나서 좌측으로 흐르는 긴 계곡을 끼고 한참을 올라간다.

일주문을 지난지 약 20여분은 지난것 같다. 입구에 작은 사찰주차장에는 20여대의 차량들이 가득들어차 있고 돌축대를 쌓아서 그위에 우뚝하게 서있는 범종루가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범종루 바로 옆쪽에는 운학루라는 현판이 보이며 건물이 목조 2층의 형태로 보이는데, 이건물들과 설선당은 전체적으로 口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약간 언덕진 길을 따라 마당에 들어서니 충남유형문화재 제151호 지정된 설선당이 보인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상·하 대웅전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는데, 하대웅전은 상대웅전보다 훨씬 낮은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1963년 1월 21일에 하대웅전은 보물 제181호 지정되었다.

장곡사 하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높이 88cm 크기의 보물 제337호 금동약사불좌상
 
장곡사미륵불괘불탱은 1673년(현종 14)에 제작된 마본에 채색한 미륵불 그림이며, 크기는 869×599cm의 군집도이다. 미륵존불이라는 명칭과는 달리 보살의 형태를 보이는 미륵보살도로 각각의 존상마다 명칭이 모두 기록되어 있다.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진행할 때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미륵불괘불탱은 국보 제300호 지정되어 있는데, 대웅전 안쪽에 사진을 빠뜨려서 문화재청에서 한장가져왔다.

상대웅전에 올라서서 내려다본 가람배치가 ㅁ자형으로 보인다. 많은 문화제를 소유하고 있는 사찰이지만 규모는 크게 보이지 않는다.

하대웅전을 돌아보고 언덕배기에 보물 제162호 상대웅전 보이는데, 앞마당이 아주 협소해서 일반 카메라로는 화면에 전체가 들어오지 않아서 멀리 반대쪽에서 찍어보았다.

상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전체 높이 2.26m, 불상 높이 61cm 크기의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는 보물 제174 지정되었다.

상대웅전안에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철제여래좌상 및 석조대좌는 국보 제58호로 지정되어있다 .

상대웅전을 돌아보고 비탈길을 내려서니 맞은편에는 어느 사찰에서고 볼수있는 삼성각이 있다.


찬란하던 통일신라 시대부터 유구한 역사를 이어온 불교문화의 보급으로 인하여, 전국 심산유곡의 맑은 계곡에 오염되지 않은 곳에는 대부분 사찰들이 있으며, 사찰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물과 유적, 문화제와 보물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칠갑산 장곡사는 다른 사찰 보다도 더 많은 국보급 보물과 문화제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특이하게도 2개의 대웅전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사찰의 경내에 탑이 하나도 없는 점도 특이했다. 

그나마 많은 국보급 문화제들과 보물들은 아직까지도 산을 지키고 있는 사찰이 여전히 존립하기 때문에 잘 보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비록 불교문화에서 비롯된 문화제와 보물들이지만 우리민족에게는 소중한 자원으로서 자손대대로 길이보존해야할 가치가 있기에, 종교와 이념을 떠나서 우리 모두가 고이 간직하고 자손대대로 물려줄 우리민족의 자산이라 생각해본다
.

유익한 정보라고 생각하면, 추천수를 클릭하여 추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털보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