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군 제대후 복학한 아들의 3학년 1학기 등록금입니다. 아들이 군대생활 할 동안은 목돈 들어갈 일이 없어서 좋더니, 아직도 2년 남은 등록금 시즌에는 부담스럽습니다. 예년에 비해서 대학등록금이 많이 인상된것은 아니지만 이번 학기도 440만원정도 납부를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설명절 쇠느라고 돈을 많이 써서 가계비 부담이 가중되는 시점이라, 여기 저기서 현금 융통해서 등록금을 마련하느라고 한나절 분주하게 보냈습니다. 중소기업에 계약직으로 일하는 아내는 하루먼저 출근하고 혼자서 등록금을 마련하다보니 예상치못한 에피소드가 벌어졌습니다.
설명절 귀성 전날에 아내가 퇴근하면서 두툼한 현금봉투를 핸드백에서 꺼내면서 기분좋게 집안에 들어서더군요.무슨 좋은일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직장동료들이 10명이서 매월 10만원씩 내서 계모임을 하는데, 이번에 당첨되어서 100만원이 생겼다고 합니다.
집안에 들어서자 두툼한 봉투에서 현금을 꺼내서 세어 보면서 "내 돈" 하면서 서랍에 집어 넣는 겁니다. 어차피 매월 10만원씩 내서 한번에 목돈을 만드는 것이지만 그래도 기분이 특별한가 봅니다. 아내는 계모임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직장동료들과 잘 어울리려니 어쩔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명절에 본가, 처가를 모두 다니다가 돈이 바닥 났으니, 주머니돈이 쌈지돈이라고 어쩔 수 없이 명절 끝나고 아들 등록금을 내야할 입장이니, 누구돈 할것없이 모두 합치고 이리저리 융통해서 440만원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할 수 없이 서랍에 넣어둔 아내가 받아온 계돈봉투를 꺼내서 주머니에 넣고 은행으로 갔습니다.
여기저기 통장에 있는 돈을 이리저리 돌려서 주계좌로 입금시키고나서, 등록금 납부은행으로 갔습니다. 주머니에는 아내가 받아온 계돈봉투에 100만원이 있으니까 340만원을 인출해야 합니다.
등록금도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편리할텐데 그런 방법이 없더군요. 현금인출기에 카드를 삽입하고나서 수표로 100만원을 먼저 인출했습니다. 100만원짜리 수표가 나올 줄 알았는데, 모두 10만원짜리로 나오더군요.
이렇게 3번을 반복하니 10만원권 수표 30장이 나왔습니다. 그리고나서 현금으로 40만원을 찾았으니 340만원 입니다. 그리고 주머니에서 두툼한 현금봉투를 쭉 찢어서 한데 썩어서, 손아귀가 잡히지 않을 정도로 돈을 들고 순번이 되어서 창구에 갔습니다.
그런데 창구에서 돈을 헤아리던 직원이 10만원권 수표를 세고, 1만원권을 번갈아 세어보더니.......... "고객님! 지금 얼마 주셨어요?" 질문을 합니다. 등록금 고지서에 4,393,000원이니까 440만원을 주었다고 했더니, 다시한번 세어보더니 20만원이 부족하다고 하는겁니다.
고개를 갸우뚱 하면서 어쩔 수 없이 현금인출기에서 20만원을 인출해서 직원에게 건내주고 등록금 영수증을 받았지만, 의문점을 풀수가 없었습니다. 분명히 현금인출기에서 340만원을 인출했고, 집에서 가지고온 현금봉투에 100만원이 들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갑자기 현금이 20만원이 모자란다고 하자 의문이 증폭되기 시작했습니다.
혹시 직원이 헤아리다가 창구아래쪽으로 흘리지는 않았는지, 아니면 아내가 명절에 비상금으로 20만원을 챙겼을까? 설날 근무 마치고 딸이 혼자 집을 다녀 갔다고 하더니 혹시............. 아니면, 아들이........... 분명히 누군가가 아내가 서랍에 넣어둔 계돈봉투에서 20만원을 말없이 뺀것이 아닐까 계속 의문이 갔습니다.
한참을 생각해 보았지만 도무지 알수가 없으니, 마음이 편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저녁에 퇴근한 아내에게 오늘 은행창구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 했더니, 의외로 쉽게 정답이 나왔습니다. "계돈으로 받아온 봉투는 원래 80만원이 였어" 그날 2명이 현금을 안가지고 와서 20만원은 통장으로 입금 받았답니다.
아내에게 그말을 듣고 나니, 제대로 확인 하지도 않고 혼자서 의문만 증폭시켰던 자신이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처음부터 봉투에 들어있는 돈을 헤아려보고 갔으면 이런일이 없었을것인데........... 그리고, 옛말에 "돈을 주고 받을 때는 반드시 직접 세어 봐야한다" 는 어른들의 말씀을 다시한번 공감 해 본 하루였습니다.
유익하게 보셨나요?^^ 손가락 모양을 클릭하면 추천됩니다.
반응형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년전 기억을 떠오르게 한 특별한 초대장 (31) | 2010.03.03 |
---|---|
자기 생일 헷갈리는 신세대 딸, 이유가 뭘까? (30) | 2010.03.02 |
명절이 더 쓸쓸한 노부부 심경 헤아려보니 (22) | 2010.02.22 |
현금 주고 받을때 반드시 헤아려봐야 하는 이유 (44) | 2010.02.17 |
설명절에 힘든 가사노동, 절반으로 줄이는 방법 (31) | 2010.02.10 |
조카들 세뱃돈은 얼마씩 주면 가장 적당할까 (46) | 2010.02.09 |
부모님들 서운하지 않도록 용돈 드리는 요령 (32) | 2010.02.08 |
TAG 가계비,
계돈,
계모임,
고지서,
공감대,
대기순번,
대학교등록금,
등록금고지서,
명절연휴,
수표,
수표인출,
쌈지돈,
에피소드,
은행창구,
의문점,
의문증폭,
주머니돈,
직장동료,
현금,
현금거래,
현금봉투,
현금융통,
현금인출,
현금인출기,
확인
댓글을 달아 주세요
돈은 정말 주고 받을 때 세어봐야 되는게 맞는듯..
맞겠지는 안되는거지요..^^
에효..등록금이 장난이 아니넹~~
쌀점방 2010.02.17 10:3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당연합니다..
본인을 위해서도 그렇지만..
돈을 주는 사람을 위해서 확인은 필수...ㅎ
와우~ 등록금이 440만원.. 에휴 전 애들 어떻게 학교 보낼까요?
걱정이 앞서네요. 제 대학다닐 때 전학년 등록급 합해도 그 금액인데..
둔필승총 2010.02.17 10:40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 이거 점점 믿을 게 없어지니....피곤한 세상입니다.
그래도 파이팅입니다.^^
수룡 2010.02.17 10:5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현금지급기를 절대 의심하지 마세요.
철저한 관리로 지폐 한장한장까지 빈틈없이 지급합니다.
게다가 지폐가 모자르기라도 하면 애초에 돈을 건내지도 않습니다.
현금지급기는 절대적입니다.
저도 이런실수한적 있어요^^ ㅎㅎ
실수도 나오는군요 ^^
chris 2010.02.17 12:5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글 보니까 예전기억이 나네요
저도 등록금내러 은행에서 만원짜리로 3백만원을 인출해서
다음날 묶음도 안풀어보고 고대로 줬는데
직원이 얼마 주셧어요 하고 물어보길래 3백만원요
했더니 8만원 더 줏셧다고
어제 직원이 백만원 묶음 줄때 잘못준거 같다고
돈묶는 종이에 찍힌 도장보고 옆창구 직원 주더군요
그 때는 그러려니 하고 나왔는데
나중에 생각하니 그때 세어 봤으면 8만원 공돈 생기는건데 하고 안타까워했네요
맞아요 2010.02.17 13:1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진짜 공감되네요 ㅎ
전 또 20만원이 어디로 사라진 줄 알았습니다.
그래도 다행이네요. ㅎㅎ
종종 이런 실수 하는 경우가 있죠 ^^;;
세어보는 게 정확한 데 잘 안하게 되더라고요!
특히 택시타고 내릴 때 어쩔 수 없어요~ㅋ
어쩌다보면 이런일이 생기던데요 ㅎ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 블로그 잘보구 갑니다.
저도 돈을 받으면 세지 않고 대충 받는 습관이 있는데 조심해야겠네요....
좋은 글 잘 보고갑니다.....*^*
후우 금방 의문이 해결되셔서 다행이예요! ㄷㄷ
그나저나 등록금 ㅜㅜ
너무 비싸졌어요! ㄷㄷ
에고..ㅎ 별일 없었기에 다행입니다...
설은 잘 쇠셨는지요~~~~
이그림egrim 2010.02.17 20:1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자리에서 세봐야 하는데 그게.. 잘 안되요
은행 CD기도 어떨땐 믿음이 안가더군요,
분명 인출한 금액과 지갑의 돈을 합치면
1만원 정도가 비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혼자만의 착각일수도 있겠지만요.
회계를 한 번 해봐서 그런지 글 읽는데 제 가슴이 다 철렁했네요
워낙 덜렁거려서 이런 일이 종종 있어요 ㅋㅋ 습관을 들여야겠네요
분명 현금이 맞아야 되는데 안 맞으면 넘 당황스러워요..
의심 막 증폭되구요....^^;;;;